2021. 9. 19. 14:20ㆍ항해99/WIL
항해99 첫 팀 프로젝트
항해99 부트캠프 참여 첫 프로젝트였다.
항해99가 시작하면 랜덤으로 팀을 나누어 미니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추가로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는 인강 한 세트를 제공하고 팀끼리 미니프로젝트가 시작된다.
팀장으로서 팀 프로젝트
이번 프로젝트는 팀장으로 참여하였다.
미니프로젝트는 jinja의 사용과 jwt를 통한 로그인을 구현하는 것이 조건이었다.
우리 팀은 전기차 충전소에 대한 주제로 웹사이트를 만들기로 하였다.
도메인 설계, api 설계, ui, ux 설계를 마무리하고
팀원 중에는 웹에 대해 처음 접근해보는 비전공자도 포함되어 있어서 1일차에는 항해99에서 제공한
인강을 모두 시청하기로 하고 1일차가 마무리 되었다.
비전공자가 많다 보니 기본적인 디버깅 방법과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 구글링 하는 방법에 대해
미숙해 보였고 많이 도와주었다. 팀원들도 이 도움을 잘 받아들여 프로젝트를 잘 수행할 수 있었다.
전공자 입장에서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차이는 적다고 생각했었는데
습관이나 경험은 내 생각보다 많은 차이를 냈었다.
아무튼, 프로젝트 수행 중 진도가 늦어진다 생각해서 다시 프로젝트 규모를 살짝 축소했고 이가 맞았다고 생각이 든다.
백엔드에서의 보안과 예외처리, 그리고 주석
평소에 코드를 구성할 때는 예외처리를 별로 쓰지 않고 코드를 써왓다.
하지만 강의나 구글링을 통해 예외처리를 해야한다고 설명하였고 이번에는 예외처리를 사용해보았다.
확실히 에러가 걸려 서버가 꺼지지도 않고 예외문구를 보고 오류를 쉽게 찾아 고칠 수 가 있었다.
3일차 쯤에서는 1기생 멘토 분이 오셔서 프로젝트에 관한 피드백이 있었다.
구멍은 없다 생각했지만 회원가입에서 아이디 중복문제에서 작동이 안되는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확인하고 후에 리뷰글의 수정, 삭제 글도 자신의 글만 삭제할 수 있도록 권한 학인을 하는 안전장치가 필요하겠다고 또한 생각이 났다.
후에 수정, 삭제 코드를 작성했을때는 위의 경험을 살려 권한을 확인하는 함수를 만들어서 적용하였다.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고 주석을 달았으며 주석을 달면서 다시 코드를 분석할 수 있는 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이번주 공부한 내용 정리
HTTP
https://eating-salmon.tistory.com/21?category=1229639
01. HTTP 정리
01. HTTP이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json, xml 등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무..
eating-salmon.tistory.com
JWT와 API
https://eating-salmon.tistory.com/27?category=1230506
'항해99 >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주차 항해99 WIL (0) | 2021.10.24 |
---|---|
05주차 항해99 WIL (0) | 2021.10.17 |
04주차 항해99 WIL (0) | 2021.10.10 |
03주차 항해99 WIL(회고록) (0) | 2021.10.03 |
02주차 항해99 WIL(회고록)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