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자주 쓰는 리스트, 문자열 함수

2021. 12. 10. 00:58알고리즘/라이브러리

728x90

리스트

메서드명 사용법 설명 시간 복잡도
append() 변수명.append() 리스트에 원소를 하나 삽입할 때 사용한다. O(1)
sort() 변수명.sort(reverse=True) 오름차순으로 정렬, reverse는 내림차순, 반환은 None O(NlogN)
reverse() 변수명.reverse() 리스트의 원소의 순서를 모두 뒤집어 놓는다. O(N)
insert() insert(삽입할 인덱스, 삽입할 값) 특정한 인덱스 위치에 원소를 삽입할 때 사용한다. O(N)
count() 변수명.count(특정 값)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의 개수 셈 O(N)
remove() 변수명.remove(특정 값) 특정한 값을 갖는 원소를 제거, 여러 개면 하나만 제거 O(N)
index() 변수명.index(찾고자하는값) 찾고자 하는 값의 인덱스 반환, 없으면 ValueError 반환 O(n)
  a = [1, 4, 3]
  print("기본 리스트: ", a) # 기본리스트 : [1, 4, 3]

  # 리스트에 원소 삽입
  a.append(2)
  print("삽입: ", a) # 삽입 : [1, 4, 3, 2]

  # 오름차순 정렬
  a.sort()
  print("오름차순 정렬: ", a) # 오름차순 정렬 : [1, 2, 3, 4]

  # 내림차순 정렬
  a.sort(reverse = True)
  print("내림차순 정렬: ", a) # 내림차순 정렬: [4, 3, 2, 1]

  # 리스트 원소 뒤집기
  a.reverse()
  print("원소 뒤집기: ", a) # 원소 뒤집기: [1, 2, 3, 4]

  # 특정 인덱스에 데이터 추가 
  a.insert(2, 3)
  print("인덱스 2에 3 추가: ", a) # 인덱스 2에 3 추가 [1, 2, 3, 3, 4]

  # 특정 값인 데이터 개수 세기
  print("값이 3인 데이터 개수: ", a.count(3)) # 값이 3인 데이터 개수: 2

  # 특정 값 데이터 삭제
  a.remove(1)
  print("값이 1인 데이터 삭제", a) # 값이 1인 데이터 삭제: [2, 3, 3, 4]

  # 특정 값 인덱스 찾기
  index = a.index(4)
  print("값이 4인 인덱스 찾기", index) # 값이 4인 인덱스 찾기 : 4

문자열

'알고리즘 > 라이브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주요 내장함수  (0) 2021.12.09
파이썬 입출력  (0) 2021.12.09